본문 바로가기

경제 상식

최저임금의 실질 인상 상승률은? 우리나라 국민소득 대비 최저임금은?

 경제통계 : 물가 상승 대비 실질 최저임금 상승률은 얼마일까? 

 

    년도 

2012 

2011 

2010 

2009

2008 

2007 

2006 

2005 

2004 

최저임금과

인상률

(전년대비)

 

4,580원

(+6.0%)

 

4,320원

(+5.1%)

 

4,110원

(+2.75%)

 

4,000원(+6.1%) 

 

3,770원(+8.3%) 

 

3,480원(+12.3%) 

 

3,100원(+9.2%) 

 

2,840원(+13.1%) 

 

 

2,510원

(+10.3%) 

 

(고용노동부 공시 과거 9년 최저임금과 최저임금 인상률)

 

 과거 9년동안 최저임금 인상률을 평균해보자면 2004년부터~2012년까지 연간 평균+7.78%의 인상률을 기록하고 있습니다.그러나 실질 최저임금 인상률을 보자면 실질적 소비자 물가를 차감한 %를 나누어야 하기에 연간 소비자 물가 상승률을 제외한 최저임금 인상률을 보자면 이렇게 볼 수 있습니다.

 

 

 

    년도 

2012 

2011 

2010 

2009

2008 

2007 

2006 

2005 

2004 

 실질 최저임금인상률

 

+3.8%

 

+1.1%

 

-0.25%

 

+3.3% 

 

+3.6%

 

+9.8% 

 

+7% 

 

+10.9% 

 

 

+6.7% 

 

(한국은행 통계청 고시 소비자 물가 상승률을 차감한 실질적 최저임금 인상률)

 

이렇게 보자면 과거 9년간 연간 평균 5.1%최저임금 인상률이 나오게 됩니다. 즉 소비자 물가 상승률을 뺀 실질적 인상률이 과거 9년 평균 5.1%인상되었다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습니다. 9년 과거동안 연간 5.1%의 최저임금 인상률을 기록했다고 볼수 있습니다.

 

 

 

 한국 국민 소득 대비 최저임금은 몇프로?

 
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한국은행의 가장 최근 통계 중 2011년 한국의 일인당 평균 소득은

 

원화기준 24,920,000원

 

 
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2013년 월(1,015,740원)최저임금*12월로 계산할 경우 연간 최저임금은

 

12,188,880원

 

 

             2011년 국민평균 소득기준으로 2013년 최저임금으로 비율을 환산할 경우

 

48.91%

 

이 비율은 2011년 한국의 국민 평균 소득을 기준으로 2013년 최저임금을 비율화 한 것이기 때문에 비율이 더 낮다고 할 수 있습니다.

 

즉 통계로 보자면 한국 국민 평균 소득의 48%정도를 최저임금으로 설정하고 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.이 연간 최저임금으로 살아간다고 가정할시 과연 서울에서 제대로 살 수 있을까?라는 의문이 들기는 한 금액입니다.

 

  개인적으로 서울에 집걱정없이 산다는 가정하(전세 및 보유)에서는 가능하다고 보지만 그렇지 않은경우 집세,교통비,식비,공과금,통신비와 같은 필수 소비를 하면서 과연 이 최저임금으로 서울에서 살수 있을까?강한 의구심이 드는 부분이긴 합니다. 또한 필수 소비외에 의료비 및 기타 필수 소비도 일어나겠죠.

 

 물론 산다면야 어떻게든 살 수 있겠지만  필수 소비 후 기타 문화,저축,레저와 같은 부분은 상당부분 제한되거나 소비하지 못하게 될 가능성이 큰 부분입니다. 그래서 말 그대로 최저임금이라는 이름이 붙는 거라 생각됩니다.

 

최소한으로 먹고살수 있게 유지만 하는 금액의 기준이 되는게 바로 이 최저임금제도라 볼 수 있겠죠.

 

 

 

최저임금이란 최저임금제란?(과거 한국의 최저임금은 얼마?)

 

2013년 한국의 최저임금은 얼마?

 

(2013년 제도 기준으로써 제도변경과 법령변경으로 변경사항이 있을 수 있습니다.)